검색결과 리스트
글
Le Cygne -Charles Baudelaire-
Le Cygne
À Victor Hugo
I
Andromaque, je pense à vous! Ce petit fleuve,
Pauvre et triste miroir où jadis resplendit
L'immense majesté de vos douleurs de veuve,
Ce Simoïs menteur qui par vos pleurs grandit,
A fécondé soudain ma mémoire fertile,
Comme je traversais le nouveau Carrousel.
Le vieux Paris n'est plus (la forme d'une ville
Change plus vite, hélas! que le coeur d'un mortel);
Je ne vois qu'en esprit tout ce camp de baraques,
Ces tas de chapiteaux ébauchés et de fûts,
Les herbes, les gros blocs verdis par l'eau des flaques,
Et, brillant aux carreaux, le bric-à-brac confus.
Là s'étalait jadis une ménagerie;
Là je vis, un matin, à l'heure où sous les cieux
Froids et clairs le Travail s'éveille, où la voirie
Pousse un sombre ouragan dans l'air silencieux,
Un cygne qui s'était évadé de sa cage,
Et, de ses pieds palmés frottant le pavé sec,
Sur le sol raboteux traînait son blanc plumage.
Près d'un ruisseau sans eau la bête ouvrant le bec
Baignait nerveusement ses ailes dans la poudre,
Et disait, le coeur plein de son beau lac natal:
«Eau, quand donc pleuvras-tu? quand tonneras-tu, foudre?»
Je vois ce malheureux, mythe étrange et fatal,
Vers le ciel quelquefois, comme l'homme d'Ovide,
Vers le ciel ironique et cruellement bleu,
Sur son cou convulsif tendant sa tête avide
Comme s'il adressait des reproches à Dieu!
II
Paris change! mais rien dans ma mélancolie
N'a bougé! palais neufs, échafaudages, blocs,
Vieux faubourgs, tout pour moi devient allégorie
Et mes chers souvenirs sont plus lourds que des rocs.
Aussi devant ce Louvre une image m'opprime:
Je pense à mon grand cygne, avec ses gestes fous,
Comme les exilés, ridicule et sublime
Et rongé d'un désir sans trêve! et puis à vous,
Andromaque, des bras d'un grand époux tombée,
Vil bétail, sous la main du superbe Pyrrhus,
Auprès d'un tombeau vide en extase courbée
Veuve d'Hector, hélas! et femme d'Hélénus!
Je pense à la négresse, amaigrie et phtisique
Piétinant dans la boue, et cherchant, l'oeil hagard,
Les cocotiers absents de la superbe Afrique
Derrière la muraille immense du brouillard;
À quiconque a perdu ce qui ne se retrouve
Jamais, jamais! à ceux qui s'abreuvent de pleurs
Et tètent la Douleur comme une bonne louve!
Aux maigres orphelins séchant comme des fleurs!
Ainsi dans la forêt où mon esprit s'exile
Un vieux Souvenir sonne à plein souffle du cor!
Je pense aux matelots oubliés dans une île,
Aux captifs, aux vaincus!... à bien d'autres encor!
Charles Baudelaire, Les Fleurs du Mal, 1861.
I. 보들레르
보들레르는 악을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상황으로 생각하고 의식적으로 악에서 미를 끌어낸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시는 시인의 로망틱한 심정의 유로를 구실로 하는 장소가 아닐 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웅변과 극적인 효과에서 단절된 인간의 내면성 그 자체의 표현이며, 그 외계와의 접점이 상징으로 되었다. 그리하여 로망티즘의 모든 시적 주제는 보들레르에게 계승되어 질적 변화를 일으킨다.
II. 상징주의
상징주의 시는 사물이 주는 암시적인 이미지나 그 뒤에 깔린 의미를 탐구하여 사물 자체의 미를 추구하는 점에서 고답파와 다르다. 상징주의는 시의 목적이 사물의 객관적인 미의 철저한 추구로 조각처럼 조형된 아름다움을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무한과 절대에 대한 탐구 또는 절묘한 영혼의 상태의 암시로 변한다. 엄격히 통제된 언어가 만들어내는 형식이야말로 일상 언어가 못 미치는 상징의 세계에 이르는 유일한 길이 되는 것이다. 그것을 의식한 사람이 보들레르이고, 보들레르에게 외적 세계는 더욱 깊고 조화된 어떤 다른 현실의 존재를 암시하는 이미지의 신호들이다. 현상을 상형문자로 해석하고 그 암호를 풀기 위해 암시와 연상 그리고 유추와 공감각을 사용한 보들레르는 상징주의 시인들의 선구자가 된 것이다. 세상의 각 사물은 깊은 생명 그 장체의 상징으로서 시인 앞에 나타나게 된다. 보들레르가 근대시의 아버지로 불리울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감각적 물질적인 대상 속에 담긴 의미를 형상화하기 위해서 언어를 창조했다는 점에 있다.
III. '알레고리(allégorie)'와 '상징(symbole)'이란?
알레고리, 상징 모두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방법은 전혀 다르다.
상징이 추상적인 것을 눈에 보이는 사물로 표현한다면 알레고리는 보다 은유적이고 의인화된 것으로 표현한다.
상징의 예> 십자가 => 기독교, 태극기=> 한국, 흰 드레스 => 순결, 빨강 파랑 노랑 => 교통신호....
그에 비해 알레고리는 대개 은유나 풍유, 의인화된 사물로 표현된다. <천로역정>, <동물농장>, <이솝우화> 등은 추상적 개념이나 동물이 의인화되어 나오는데, 이런 경우가 바로 알레고리에 해당한다. 또 상징처럼 알기 쉽게 기호나 사물로 표현되지 않고 수수께끼처럼 이면에 감춰져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파리대왕> 같이 무인도에 갇힌 아이들을 통해 정치, 선과 악, 인간본성에 대해 풍자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발터 벤야민은 알레고리가 텍스트나 회화에 신화적이고 역사화된 배경을 설정하기 때문에 상징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알레고리에 비하면 상징은 잠시 머물다 사라지는 것에 불과하다고 했다. 그만큼 어려운 개념이라는 얘기이다.
IV. Le Cygne
1. <백조>는 <파리 풍경> 중 가장 아름다운 시들 중 하나이다.
2. "A Victor Hugo"
그 당시 위고는 영불해협 게른지에 망명가 있었는데 보들레르가 위고에게 시를 바친 것은 이 시의 주제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3. 시적 분위기와 ‘백조’의 의미
유배와 도시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누구보다 먼저 도시의 군중 가운데서 느끼는 고독이라는 역설적인 감정을 매우 깊이 느꼈던 그는 이 감정을 ‘파리의 우울’이라 하였고 프랑스 제2제정기에 변형중인 파리의 공사 현장을 배경으로 도시로 밀려드는 뿌리 뽑힌 군중들을 그린다. 시의 주제는 모든 추방당한 자들이 앓고 있는 향수로, 깊은 향수의 감정이 시의 중심에 있다. ‘백조’는 대도시로 유배된 존재의 불행을, 그리고 나아가서 추방당한 자의 운명을 상징한다.
4. 시인의 명상 전개 과정
- 친근한 광경, 직접적 경험(외적) -> 풍요한 기억 (내적)
- 카루젤 광장의 기억 -> 백조의 비극적 모습 -> 우울한 명상 (앙드로마크, 위고의 유배, 흑인여자의 영상 ....)
5. 앙드로마크
1667년 라신느에 의해 희곡으로 씌여지기도 하였다. 트로이의 장군 헥토르의 아내인 앙드로마크는 트로이가 함락되자 미망인이 되고, 적장 피류스에게 사로잡힌다. 그녀는 에피르의 도시 주변에 흐르는 강을 트로이에 흐르는 시모이 강으로 생각하고, 그 옆에 시체도 없는 남편의 무덤을 만들어 죽은 남편과 멀리 떠나온 고향을 생각한다. 그녀는 피류스의 아들 셋을 낳고, 헥토르의 동생 헬레뉴스에게 팔리는 비극적 운명의 주인공이다. 시에서는 앙드로마크의 비극적 상황과 숙명적 불행을 사전에 환기시켜 백조의 처지와 불행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즉, 신화에 대한 간단한 암시 또는 단순히 이름 하나와 이 인물이 처한 상황에 대한 간략한 묘사를 통해 인물에 관한 감정과 기억을 일시에 환기시키고 있다. 보들레르 시는 이처럼 묘사 설명 대신 암시에 의거하여 강한 환기력을 시에 불어넣는다.
6. 오비디우스 (Ovidius)
로마의 시인으로 「Métamorphoses」에서 “하느님이 인간의 머리를 들어올리고 그에게 명하기를 하늘을 바라볼 것이며 시선을 별에 두라 하셨다‘고 썼다.
<역>
백 조
빅토르 위고에게
1
앙드로마끄여, 나는 그대를 생각한다! 그 작은 강물은,
그대의 한없는 장엄한 과부의 괴로움을
일찌기 비추었던 가엾고 애달픈 거울,
그대의 눈물로 불어난 그 가짜의 시모이 강은,
내가 새로운 까루젤 광장을 지나가고 있을 때,
불현듯 내 풍부한 기억력을 가멸지게 해 주었다.
옛 빠리의 모습 지금은 간 곳 없구나(도시 모양은
아! 사람의 마음보다도 더 빨리 변하도다).
나는 오직 마음 속에만 그려볼 따름, 저 진을 친 판자집들을,
저 설깎은 기둥이며 통나무의 산더미들을,
잡초며, 웅덩이의 물때 올라 파래진 육중한 돌덩이들을,
그리고 유리창에 번쩍이는 흩어진 골동품들을.
거기엔 예전에 동물 진열관이 늘어서 있었다.
거기서 나는 보았다, 어느 날 아침 싸늘한 맑은 하늘 아래서
'노동'이 잠을 깨고, 쓰레기터가 고요한 공기 속에
검은 연기를 무럭무럭 내뿜고 있을 무렵에,
새장에서 벗어난 백조 한 마리,
바싹 마른 포도를 오리발로 문지르면서
울퉁불퉁한 땅바닥 위에 그 하얀 깃을 끌고 있음을.
물 없는 도랑 가에서 백조는 부리를 열고
먼지 속에 짜증스레 날개를 미역감으며,
아름답던 고향 호수 가슴 속에 사무쳐, 말하기를,
"물아, 언제나 너는 비가 되어 오려나? 너는 언제나 울리려나, 우뢰야?"
그리고 얄궂은 숙명의 신화, 그 불행한 짐승은,
이따금, 오비드의 인간처럼, 하늘을 향해,
잔인하게도 새파란 빈정거리는 하늘을 향해,
마치 하느님에게 원망이라도 퍼붓듯이,
경련하는 목 위에 허기진 머리를 쳐들고 있었다!
2
파리는 변한다! 그러나 내 우울 속에선 무엇 하나
까딱도 하지 않았다! 새 궁전도, 발판도, 돌덩이도,
성문밖 낡은 거리도, 모두가 내게는 알레고리가 되고,
내 그리운 추억은 바위보다도 무거웁다,
그리하여 이 루브르 박물관 앞에서 하나의 영상(映像)이 나를 짓누른다.
나는 저 큰 백조를 생각한다, 미칠듯이 몸짓을 하고,
귀양다리처럼 어리숭하면서도 고매한 몸가짐을 간직하고서,
쉴새 없는 욕망에 시달리는 백조를! 그리고 다음엔, 그대 앙그로마끄여,
나는 그대를 생각한다, 위대한 낭군 팔에서,
천한 가축처럼, 오만한 삐류스의 손에 떨어져,
빈 무덤 곁에 넋을 잃고 쓰러진 그대,
아! 헥토르의 과부, 그리고 헬레뉴스의 아내여!
나는 생각한다, 폐병 들어 수척한 저 흑인 여자를,
철떡철떡 진창을 밟으면서, 사나운 눈초리로,
아득한 안개의 벽 저 너머에 화려한 고향
아프리카의 야자수 숲을 찾고 있던 그 모습을.
다시는 영원히 도로 찾지 못할 것을
잃어버린 모든 사람을! 밤낮으로 눈물의 물을 마시고
어진 암이리 같은 '고뇌'의 젖을 빨며 살아 가는 사람을!
꽃처럼 시들어 가는 말라빠진 고아를!
그리하여 내 마음 귀양사는 숲 속에
낡은 추억은 뿔피리처럼 소리 높이 울려 퍼진다!
나는 생각한다, 외딴 섬에 버려진 뱃사람들을,
포로며 패배자들을!…… 또 그 밖에도 수많은 사람들을!
'The 3rd tex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관계 - <화양연화> 또는 <로망스> (0) | 2014.04.06 |
---|---|
위험한 관계(Les Liaisons dangereuses) - Pierre Choderlos de Laclos (1782) (0) | 2013.10.15 |
La beauté - Charles Baudelaire - (0) | 2013.10.14 |
[Film] Notting hill (0) | 2013.07.26 |
[Drama] 옥탑방과 JIN (0) | 2013.07.09 |